※ 석탄학습장은 석탄이 무엇인지 일반인이 석탄에 관해서 알기 쉽게 풀어서 작성한 자료이므로 학문적으로 이용하기는 부적합한 부분이 있습니다.
-
용어
-
탐광
-
유사용어
-
-
내용
-
광산 ·탄전 ·유전 등의 개발을 위하여 광상을 발견하고, 그 성질 ·상태 ·규모 등을 알아내는 작업. 광상의 대부분은 지하 깊은 곳에 매장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볼 수 있는 것은 일부분뿐이므로 발견하기가 곤란하다. 설사 발견하였다 해도 그것의 합리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충분한 조사가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지질학 ·지구물리학 ·지구화학 등의 종합적인 지식이 이용되어야 한다. 조사지역에 대해서는, 먼저 충분한 지표조사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서 지질조건이나 지형에 관한 지식이 수집된다. 전혀 예기치 않은 곳에서 노두(露頭)나 광상의 존재의 징후를 발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지하의 구조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지진파의 전파(傳播)를 이용하는 탄성파탐사, 지전류(地電流)의 측정을 이용하는 전탐법(電探法), 자성체의 강약을 이용하는 자력탐사, 중력의 차를 이용하는 중력탐사 등의 물리탐사법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광상발견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알려지면 보링작업을 실시한다. 그리고 보다 확실한 자료를 얻기 위해 최종적으로 갱도에 의해서 광상까지 도달하고, 나아가서는 광상 내부에도 갱도를 굴착한다. 이와 같이 탐광을 목적으로 굴진한 갱도를 탐광갱도라고 하며, 이 탐광갱도에 의해서 광상의 규모나 광석의 성질 ·품위 ·매장량 등이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