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석탄공사(사장 유정배)는 12월 4일(화) 강원대학교 김헌영 총장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남북경협대비 민생 에너지 분야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 석탄공사는 그동안 국내 무연탄을 생산하여 60,70년대 산업화 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겨울용 난방용 연료인 연탄 보급에 힘써왔으며, 석탄 생산이 최고 정점이던 '89년에 국내 총 24백만톤 생산량 중 73%인 18백만톤을 강원도에서 생산하여 그야말로 에너지 연료공급의 중추적 역할을 강원도가 했다고 볼 수 있다.
□ 제재완화로 남북경협이 이루어질 경우 북한은 가스, 석유를 통한 난방은 인프라 건설 및 외화지출 부담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워, 남한이 과거 경험한 에너지 소비 패턴을 따를 것으로 보기 때문에 북한의 경제규모가 적정궤도에 도달할 때까지 향후 수십년 동안은 연탄으로 난방을 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았다.
□ 북한은 에너지 연료 부족으로 인한 땔감용 나무 벌채 및 임야 개간 등으로 인해 '90년에 국토면적의 68%이던 산림이 '10년에는 47%로 줄어들었으며 이는 254만ha로서 서울시 면적의 42배가 되는 산림면적이 사라졌으며 임목축적량도 남한(154㎥/ha)의 3분의 1수준에 그쳐 산림 황폐화가 심한 상태로 파악된다.
□ 강원도는 남한에서 가장 넓은 산림면적(1,371,643ha)과 최고의 산림비율(82%)을 보이고 있어, 강원대에서는 북한의 산림녹화에도 관심을 갖고 있으며 산림녹화를 위해서는 조림으로 그쳐서는 안되며 연탄보급을 통해 난방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근원적인 대책이라고 보았다.
□ 남한도 과거 연탄 보급을 통해 땔감용 벌채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이러한 난방문화 개선에 힘입어 우리나라 산림의 임목축적량은 '70년 10㎥/ha에 그치던 것이 '18년 154㎥/ha로 15배나 증가하는 녹화율을 보이고 있다.
□ 석탄은 다른 광물대비 북한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지하자원으로서 채탄장비 부족 및 인프라 부족으로 생산효율이 떨어지고 있어, 남북경협이 재개될 경우 석탄공사의 기술력과 남한의 각종 채탄장비를 이용해 북한 탄광을 현대화해서 생산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 따라서, 강원대와 석탄공사는 강원도 소재 기관으로서 제재완화 이후 남북경제협력이 가능하게 되면 북한의 민생에너지 보급 확산에 힘쓰기로 하고, 이를 위해 산학협력으로 공동 연구하고 포럼 및 세미나를 통해 관련 기관 및 민간 기업들과의 협력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을 밝혔다.
□ 석탄공사 유정배 사장은 "석탄공사는 석탄을 생산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수십년 동안 전국적으로 63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녹화사업도 진행한 바 있어 서민연료의 안정적 공급뿐 아니라 우리나라 산림녹화에도 기여를 하였으며, 북한이 당면한 주요 문제인 서민연료 보급 및 산림황폐화 방지분야에서 석탄공사와 강원대가 서로의 경험과 지식 역량을 접목할 경우 남북교류 협력에서 좋은 산학 협력 모델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